본문 바로가기

게임

[게임팁] 24시간 서버 개설하기 - nitrado 편

여러분은 친구들과 게임할 때, 서버를 어떻게 열고 계신가요

 

저는 주로 nitrado이용, 제 컴퓨터로 서버열기, 리눅스(우분투)서버 이용

이렇게 3가지를 주로 사용하는데요,

 

그중에서 제일 간편하고 합리적으로 가능한 사이트인

nitrado 사이트를 소개하려고 합니다.

 

이 사이트는 24시간서버를 합리적인 가격에 제공하고 있으며

초보자들도 쉽게 서버 콘피그 수정 등 관리가 가능합니다.

무엇보다 단순하기 때문에 매우매우 사용이 쉽습니다.

 

https://server.nitrado.net/eng/games/select/2

 

Game Server, Voice Server, affordable hosting and instantly online | nitrado.net

 

server.nitrado.net

 

먼저 해당 링크로 들어가줍니다! 그러면 이런 화면이 나오는데요,

여기에서 본인이 원하는 게임으로 변경 후 Choose game을 누르거나,

Choose game later 를 누르면 일반 서버로 구축을 시작합니다.

 

차이점은 서버를 바로 세팅할것이냐, 나중에 세팅할것이냐 그 차이이며

처음에 게임을 선택하고 서버를 구축해도, 계약한 기간동안에 게임 변경은 자유입니다.

 

 

해당 화면에서는 도시를 정해주시면 됩니다.

런던이나 프랑크프루트 추천드릴게요.

 

그 외에도 Run latency measurement 버튼을 클릭하여 테스트 후

본인에게 가장 잘 맞는 서버를 선택하시면 됩니다.

 

Next 눌러주시구요

 

다음 화면이 중요합니다.

1번에서는 서버 종류를 선택하는 화면입니다.

Public Server와 basic의 차이점은 뭐냐하면,

 

일반 Public Server는 데이즈나 아크서바이벌, 마인크래프트 등 3d게임같이

리소스를 많이 필요로 하는 게임들 서버를 제공해주는 서버이구요

 

Basic은 테라리아나 스타바운드처럼 2d등의 리소스를 적게 먹는 게임들을

지원해주는 서버입니다.

 

4player, 30일 기준으로 약 1000~1200원정도 차이가 나니까, 본인에게 맞는 서버로

골라서 플레이하는것을 추천드립니다.

 

다음 계속하기 누르시면 가입 절차를 진행하시고

로그인하시면 이렇게 결제창이 나옵니다.

 

가격은 알맞게 적어서 하시구, 카드 종류는 본인이 보유한 카드를 사용하면 됩니다.

 

처음에 결제시 이런 창이 뜨게 되는데요,

이름과 ZIP코드를 잘 입력하셔야 합니다.

ZIP코드는 네이버에 검색하시면 자기 지역 ZIP코드를 알 수 있습니다.

 

이렇게 다 입력하시고 완료하시면 본인만의 서버 구축이 완료됩니다!

이후 여기에서 "MY SERVICES" 를 들어가시면 IP주소나 서버 관리설정 등을 할 수 있습니다.

 

쉽게 24시간서버 만드셔서 친구들과 재밌게 게임해보세요

'게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게임리뷰] Stardew Valley  (0) 2021.08.16
[게임리뷰] 검은사막 모바일  (0) 2021.07.29
[게임리뷰] COLORZZLE  (0) 2021.07.22
[게임리뷰] 오딘:발할라 라이징  (0) 2021.07.12